[곤지암] 석영한 상무 공학박사 학위 취득
- 작성일08.04.24 조회수8,543
- 첨부파일
본문
㈜서브원 곤지암CC 석영한 상무는 지난 2월 청주대학교에서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 연구”라는 논제로 환경조경학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내 골프장업계가 급속히 팽창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우수 골프장의 평가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평가지표가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작된 이 논문은 국내 골프장이 지향해야 할 과학적인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우수 명문골프장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PSR구조를 적용한 평가지표를 선별,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평가 영역의 과학성과 신뢰성을 확립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명문 골프장을 지향하는 골프장의 조성 및 운영 방향성에 대해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골프장업계에 종사한 실무전문가가 학문과 접목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博士學位論文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 연구
A Study on the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a Golf Course in the
aspects of Constuructional Excellence and Operations Management
( 要 約 集 )
제 1 장 서론
현재 국내외 골프장은 시장 경쟁체제의 강화, 환경친화적 개발 요구 증대, 서비스 수준 향상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반영한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여건을 반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는 있으나 이들 모두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방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했다 할 수 있다.
국내 골프장이 지향해야 할 개발방향과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만족도 높은 골프장을 건립하고 운영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골프장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과 만족도 높은 골프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제 2 장 평가지표 체계의 구축
본 연구는 명문성(우수성)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발굴하고자 문헌 조사를 통해 명문 골프장과 관련된 개념, 원칙 등을 파악하였으며, 기존 연구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여 1차적으로 PSR구조를 적용한 평가지표를 선발하였다. PSR구조를 적용하여 발굴한 평가지표를 토대로 전문가 예비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지표를 보완 및 수정하고, 전문가 본 설문을 통해 개별항목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중요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적 방법을 취하였다.
제 3 장 연구모형의 가설설정
일반적으로 개념 및 모델연구를 통해 발굴된 평가지표들은 요인분석을 통해 파악된 요인(평가지표)들과 그 분류가 일치되고 있는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개념 타당도 검증 차원에서 중요하므로 연구 모형에 대한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1]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의 부합성
- PSR 지표체계 및 전문가 예비 설문을 통해 도출한 명문성 골프장의 중간 및 하위평가 지표는 요인 분석결과와 일치 할 것이다
[가설 2]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간 관계성
- 요인 분석 결과에 의한 평가 지표들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형성 될 것이다
제 4 장 결과 및 고찰
제 1절 골프장 평가영역 및 평가지표 추출
전문가 예비설문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3개영역, 15개 중간평가지표가 설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한 명문성 중간평가지표 및 하위평가지표의 추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기성 ①코스레이아웃 홀간 이동거리, 차폐, 코스길이, 다양한 Shut Value, 토너먼트 진행
위한 시설 확보 ②경기운영성 라운드 정체시대응, 플레이방해 정도(소음), 코스난이도, 티오프간격,
수리지명확한경계 ③경기공정성 예약의공정한배정, 대기의 편리성, 라운드소요시간 ④코스의관리수준 잔디상태, 그린스피드, 골프 코스의안정성, 페어웨이상태, 러프상태,
OB및 Hazard 말뚝 위치, Tee area 위치 ⑤클럽의전통성 클럽의분위기, 골프대회개최 실적, 골프장역사2) 환경성 ⑥입지성 지리적조건, 교통편리성, 주변 경관과 조화, 지역의 역사문화성,
골프코스의 역사 및 환경적 특성(지형, 경사 등) ⑦지형 기존지형이용, 홀의 조형성, 절. 성토량(경사면발생량) ⑧자연녹화 기존식생보전, 비탈면녹화, 다층형 식생구조 ⑨오염수준 수질오염, 토양오염도, 농약 및 비료 유출량 ⑩자원재활용 물순환 및 재활용, 기존자연 자원활용, 표토재활용 3) 운영관리 ⑪정보운영관리 예약편리성, 신속한 통보, 직원의 친절한 응대 ⑫시설관리 편의시설관리상태, 장애물관리, (연못, 벙커, 러프, OB),
시설의 질 및 청결상태 ⑬회원서비스 회원공지사항안내전달, 우대프로그램운영, 회원혜택, 식음료의 적정가격 ⑭서비스수준 서비스마인드, 담당직원의 예절 및 매너, 서비스 신속성 및 적극성 ⑮경기진행원관리 전문지식정도, 친절한 응대, 숙련도 및 경험
제 2절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경기성, 환경성, 운영관리 등 3개 평가영역을 두 가지씩 묶어 서로 상관 비교 설문한 결과 각 평가영역에 따라 상대적 우위와 그에 따른 가중 점수를 구할 수 있었다. 즉 경기성, 환경성, 운영관리의 누계가중을 비교한 결과 각 영역들은 상대적 우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에서도 운영관리영역이 3개 평가영역 중 가장 큰 우위를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중간 평가지표별 중요도 평가결과, 경기성 평가영역에서는 코스관리수준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기공정성, 경기운영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결과 되었다. 환경성 평가영역의 경우는 오염수준, 입지성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항목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지형, 자원재활용, 자연녹화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운영관리 평가영역에서는 서비스수준, 정보운영관리, 시설관리, 경기진행원관리 등의 순으로 주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회원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제 3절 가설검증 결과
1)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 구성의 부합성
요인분석에 의해 파악된 요인들과 PSR구조 및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가설적으로 설정한 골프장 평가지표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은 개념 타당도 검증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당초예상과는 달리 “이론연구(PSR지표체계)와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도출된 명문성(우수성) 골프장의 3개 영역 15개 중간평가지표 및 55개 하위평가지표의 구성체계는 요인분석결과와 일치할 것이다”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다. 그러나 요인분석 결과 영역별로 분류된 평가지표 체계가 기각되고 최종적으로 10개 중간평가 지표로 재구성되었다.
순위중간평가지표하위평가지표1환경친화성 수질오염, 기존자연자원의 재활용, 물 순환및 재활용, 농약및 비료
유출량, 토양오염도, 기존식생보전, 표토 재활용, 다층형식생구조,
비탈면녹화, 기존지형이용, 절.성토량. 주변경관과 조화2회원서비스수준 우대프로그램운영, 신속한 통보, 직원의 친절한 응대, 예약편리성,
회원공지사항 안내 전달, 회원혜택, 시설의질 및 청결상태,
편의 시설 관리수준3진행원의 인적
서비스 수준 경기 진행원 전문지식 정도, 경기진행원의 친절한 응대, 서비스의
신속성 및 적극성, 담당직원의 예절및 매너, 경기진행원의 숙련도,
및 경험, 서비스 마인드4코스의 난이도 수리지의 명확한 경계, Tee area 위치, OB, hazard5코스관리수준 플레이 방해정도, 잔디상태, 페어웨이 및 러프상태, 그린스피드6운영관리공정성 라운드 정체시 대응, 대기의 편리성, 예약의 공정한 배정, 라운드
소요시간, 티오프 간격 7접근성및입지성 지리적 조건, 홀간 이동거리, 교통 편리성8클럽전통성 및
클럽의 분위기 골프장 역사, 골프대회 개최실적, 골프코스의 역사및 환경 특성,
지역의 역사 문화성, 클럽의 분위기9코스의 우수성 토너멘트를 위한 시설, 다양한 샷밸류, 장애물 상태10코스레이아웃 코스의 길이, 코스의 조형성
2)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 중요도 결정요인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를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명문 골프장의 조성과 운영을 위해서는 코스의 관리수준, 코스의 우수성, 진행원의인적서비스수준, 코스레이아웃, 환경친화성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되고 특화된 골프장 조성과 운영관리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3)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 지표간의 관계성
요인분석을 통해 재구성된 평가지표들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가설2]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한 결과 재구성된 평가지표 모형의 인과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장 평가지표의 경로계수로 파악한 결과 코스의 우수성에는 장애물 상태, 토너멘트 진행을 위한 시설 등이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퍼입장에서 자신의 기량을 시험해 볼 수 있는 도전기회를 갖기 위한 장애물의 적절한 배치와 관리상태가 반영되었으며 전문가들은 각종대회 유치를 골프장의 사회 대중적 역할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원활한 경기진행에는 지연 플레이어(slow player)나 경기외적인 잔디관리 작업에 의한 인적, 기계적 소음과 진행지연 등의 플레이방해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높았으며, 운영관리공정성에는 예약대기의 편리성, 예약의 공정한 배정 등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골프장 운영관리시 예약 우선 순위별 공정한 대기 및 예약등을 중요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 및 입지성과 관련해서는 지리적 조건이 단순한 시간 거리와 연관된 교통 편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클럽의 전통성에 대한 영향력은 시설이나 골프대회 개최실적 등의 외향적 전통성 보다는 골프장의 분위기 등 내재적 인지도가 보다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 되었다. 환경친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개념으로는 농약 및 비료 유출량, 수질오염 등 오염매체와 관련된 평가개념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원서비스와 관련해서는 판매품인 식음료 가격과 회원공지사항 안내전달, 회원혜택 등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경기진행원의 인적서비스 수준에서는 경기진행원의 친절한 응대 및 전문지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결과 되었다. 서비스수준과 관련해서 담당직원들의 예절과 매너, 서비스 마인드 정도가 영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경기성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지표로는 코스의 난이도, 코스의 우수성, 경기진행원의 인적서비스 수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관리 부문에는 운영관리공정성이, 그리고 환경성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지표로는 코스관리수준, 접근성 및 입지성, 환경친화성, 회원서비스 수준의 순으로 나타났다.
명문성(우수성) 골프장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경기성, 환경성, 운영관리 관련 지표들간에는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경기성 관련 평가지표들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제 5 장 결 론
본 연구는 세부적인 평가체계를 개발하기 전 단계 연구로 이론적 연구와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전문가 본 설문조사를 실시해봄으로써 최종 평가지표 발굴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아울러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타당성 있는 10개 중간평가 지표를 과학적으로 재구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골프장의 대표성 있는 중요 평가지표 발굴 및 차별적이고 지속 가능성차원의 바람직한 골프장 미래상 설정의 준거틀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국내 골프장업계가 급속히 팽창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우수 골프장의 평가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평가지표가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작된 이 논문은 국내 골프장이 지향해야 할 과학적인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우수 명문골프장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PSR구조를 적용한 평가지표를 선별,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평가 영역의 과학성과 신뢰성을 확립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명문 골프장을 지향하는 골프장의 조성 및 운영 방향성에 대해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골프장업계에 종사한 실무전문가가 학문과 접목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博士學位論文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 연구
A Study on the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a Golf Course in the
aspects of Constuructional Excellence and Operations Management
( 要 約 集 )
제 1 장 서론
현재 국내외 골프장은 시장 경쟁체제의 강화, 환경친화적 개발 요구 증대, 서비스 수준 향상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반영한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여건을 반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는 있으나 이들 모두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방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했다 할 수 있다.
국내 골프장이 지향해야 할 개발방향과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만족도 높은 골프장을 건립하고 운영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골프장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과 만족도 높은 골프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제 2 장 평가지표 체계의 구축
본 연구는 명문성(우수성)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발굴하고자 문헌 조사를 통해 명문 골프장과 관련된 개념, 원칙 등을 파악하였으며, 기존 연구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여 1차적으로 PSR구조를 적용한 평가지표를 선발하였다. PSR구조를 적용하여 발굴한 평가지표를 토대로 전문가 예비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지표를 보완 및 수정하고, 전문가 본 설문을 통해 개별항목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중요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적 방법을 취하였다.
제 3 장 연구모형의 가설설정
일반적으로 개념 및 모델연구를 통해 발굴된 평가지표들은 요인분석을 통해 파악된 요인(평가지표)들과 그 분류가 일치되고 있는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개념 타당도 검증 차원에서 중요하므로 연구 모형에 대한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1]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의 부합성
- PSR 지표체계 및 전문가 예비 설문을 통해 도출한 명문성 골프장의 중간 및 하위평가 지표는 요인 분석결과와 일치 할 것이다
[가설 2]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간 관계성
- 요인 분석 결과에 의한 평가 지표들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형성 될 것이다
제 4 장 결과 및 고찰
제 1절 골프장 평가영역 및 평가지표 추출
전문가 예비설문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3개영역, 15개 중간평가지표가 설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한 명문성 중간평가지표 및 하위평가지표의 추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기성 ①코스레이아웃 홀간 이동거리, 차폐, 코스길이, 다양한 Shut Value, 토너먼트 진행
위한 시설 확보 ②경기운영성 라운드 정체시대응, 플레이방해 정도(소음), 코스난이도, 티오프간격,
수리지명확한경계 ③경기공정성 예약의공정한배정, 대기의 편리성, 라운드소요시간 ④코스의관리수준 잔디상태, 그린스피드, 골프 코스의안정성, 페어웨이상태, 러프상태,
OB및 Hazard 말뚝 위치, Tee area 위치 ⑤클럽의전통성 클럽의분위기, 골프대회개최 실적, 골프장역사2) 환경성 ⑥입지성 지리적조건, 교통편리성, 주변 경관과 조화, 지역의 역사문화성,
골프코스의 역사 및 환경적 특성(지형, 경사 등) ⑦지형 기존지형이용, 홀의 조형성, 절. 성토량(경사면발생량) ⑧자연녹화 기존식생보전, 비탈면녹화, 다층형 식생구조 ⑨오염수준 수질오염, 토양오염도, 농약 및 비료 유출량 ⑩자원재활용 물순환 및 재활용, 기존자연 자원활용, 표토재활용 3) 운영관리 ⑪정보운영관리 예약편리성, 신속한 통보, 직원의 친절한 응대 ⑫시설관리 편의시설관리상태, 장애물관리, (연못, 벙커, 러프, OB),
시설의 질 및 청결상태 ⑬회원서비스 회원공지사항안내전달, 우대프로그램운영, 회원혜택, 식음료의 적정가격 ⑭서비스수준 서비스마인드, 담당직원의 예절 및 매너, 서비스 신속성 및 적극성 ⑮경기진행원관리 전문지식정도, 친절한 응대, 숙련도 및 경험
제 2절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경기성, 환경성, 운영관리 등 3개 평가영역을 두 가지씩 묶어 서로 상관 비교 설문한 결과 각 평가영역에 따라 상대적 우위와 그에 따른 가중 점수를 구할 수 있었다. 즉 경기성, 환경성, 운영관리의 누계가중을 비교한 결과 각 영역들은 상대적 우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에서도 운영관리영역이 3개 평가영역 중 가장 큰 우위를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중간 평가지표별 중요도 평가결과, 경기성 평가영역에서는 코스관리수준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기공정성, 경기운영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결과 되었다. 환경성 평가영역의 경우는 오염수준, 입지성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항목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지형, 자원재활용, 자연녹화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운영관리 평가영역에서는 서비스수준, 정보운영관리, 시설관리, 경기진행원관리 등의 순으로 주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회원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제 3절 가설검증 결과
1)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 구성의 부합성
요인분석에 의해 파악된 요인들과 PSR구조 및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가설적으로 설정한 골프장 평가지표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은 개념 타당도 검증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당초예상과는 달리 “이론연구(PSR지표체계)와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도출된 명문성(우수성) 골프장의 3개 영역 15개 중간평가지표 및 55개 하위평가지표의 구성체계는 요인분석결과와 일치할 것이다”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다. 그러나 요인분석 결과 영역별로 분류된 평가지표 체계가 기각되고 최종적으로 10개 중간평가 지표로 재구성되었다.
순위중간평가지표하위평가지표1환경친화성 수질오염, 기존자연자원의 재활용, 물 순환및 재활용, 농약및 비료
유출량, 토양오염도, 기존식생보전, 표토 재활용, 다층형식생구조,
비탈면녹화, 기존지형이용, 절.성토량. 주변경관과 조화2회원서비스수준 우대프로그램운영, 신속한 통보, 직원의 친절한 응대, 예약편리성,
회원공지사항 안내 전달, 회원혜택, 시설의질 및 청결상태,
편의 시설 관리수준3진행원의 인적
서비스 수준 경기 진행원 전문지식 정도, 경기진행원의 친절한 응대, 서비스의
신속성 및 적극성, 담당직원의 예절및 매너, 경기진행원의 숙련도,
및 경험, 서비스 마인드4코스의 난이도 수리지의 명확한 경계, Tee area 위치, OB, hazard5코스관리수준 플레이 방해정도, 잔디상태, 페어웨이 및 러프상태, 그린스피드6운영관리공정성 라운드 정체시 대응, 대기의 편리성, 예약의 공정한 배정, 라운드
소요시간, 티오프 간격 7접근성및입지성 지리적 조건, 홀간 이동거리, 교통 편리성8클럽전통성 및
클럽의 분위기 골프장 역사, 골프대회 개최실적, 골프코스의 역사및 환경 특성,
지역의 역사 문화성, 클럽의 분위기9코스의 우수성 토너멘트를 위한 시설, 다양한 샷밸류, 장애물 상태10코스레이아웃 코스의 길이, 코스의 조형성
2)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지표 중요도 결정요인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를 위한 평가지표의 중요도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명문 골프장의 조성과 운영을 위해서는 코스의 관리수준, 코스의 우수성, 진행원의인적서비스수준, 코스레이아웃, 환경친화성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되고 특화된 골프장 조성과 운영관리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3) 골프장 조성 및 운영관리 평가 지표간의 관계성
요인분석을 통해 재구성된 평가지표들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가설2]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한 결과 재구성된 평가지표 모형의 인과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장 평가지표의 경로계수로 파악한 결과 코스의 우수성에는 장애물 상태, 토너멘트 진행을 위한 시설 등이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퍼입장에서 자신의 기량을 시험해 볼 수 있는 도전기회를 갖기 위한 장애물의 적절한 배치와 관리상태가 반영되었으며 전문가들은 각종대회 유치를 골프장의 사회 대중적 역할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원활한 경기진행에는 지연 플레이어(slow player)나 경기외적인 잔디관리 작업에 의한 인적, 기계적 소음과 진행지연 등의 플레이방해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높았으며, 운영관리공정성에는 예약대기의 편리성, 예약의 공정한 배정 등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골프장 운영관리시 예약 우선 순위별 공정한 대기 및 예약등을 중요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 및 입지성과 관련해서는 지리적 조건이 단순한 시간 거리와 연관된 교통 편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클럽의 전통성에 대한 영향력은 시설이나 골프대회 개최실적 등의 외향적 전통성 보다는 골프장의 분위기 등 내재적 인지도가 보다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 되었다. 환경친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개념으로는 농약 및 비료 유출량, 수질오염 등 오염매체와 관련된 평가개념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원서비스와 관련해서는 판매품인 식음료 가격과 회원공지사항 안내전달, 회원혜택 등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경기진행원의 인적서비스 수준에서는 경기진행원의 친절한 응대 및 전문지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결과 되었다. 서비스수준과 관련해서 담당직원들의 예절과 매너, 서비스 마인드 정도가 영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경기성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지표로는 코스의 난이도, 코스의 우수성, 경기진행원의 인적서비스 수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관리 부문에는 운영관리공정성이, 그리고 환경성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지표로는 코스관리수준, 접근성 및 입지성, 환경친화성, 회원서비스 수준의 순으로 나타났다.
명문성(우수성) 골프장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경기성, 환경성, 운영관리 관련 지표들간에는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경기성 관련 평가지표들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제 5 장 결 론
본 연구는 세부적인 평가체계를 개발하기 전 단계 연구로 이론적 연구와 전문가 예비설문을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전문가 본 설문조사를 실시해봄으로써 최종 평가지표 발굴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아울러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타당성 있는 10개 중간평가 지표를 과학적으로 재구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골프장의 대표성 있는 중요 평가지표 발굴 및 차별적이고 지속 가능성차원의 바람직한 골프장 미래상 설정의 준거틀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